영주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주군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된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봉화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주군·봉화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석홍, 김정식, 이정희, 황호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주시의 정치 - 영주시장 선거
영주시장 선거는 경상북도 영주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8번의 민선 시장 선거를 통해 김진영, 권영창, 김주영, 장욱현, 박남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영주시의 정치 - 영주시 (선거구)
경상북도 영주시 지역에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문경시·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박시균, 장윤석이 각각 2선 이상을 역임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영주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영주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북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영주군·봉화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봉화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주군·봉화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1948년)
1948년 대동청년단 소속 최석홍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1950년 대한청년단의 김정식이 당선되었다.
3. 3. 제3대 국회의원 (1954년)
1954년 자유당 소속의 이정희가 영주군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3. 4.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wikitext
3. 5.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960년에는 민주당 황호영 후보가 당선되었다.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영주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 각 선거별 상세 결과가 정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요약된 내용만 간략하게 제시한다.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동청년단 최석홍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청년당 김정식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이정희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이정희 후보 당선.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황호영 후보 당선.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최석홍 후보가 27.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최석홍 | 대동청년단 | 10,718 | 27.93 |
이운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189 | 23.95 |
송영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7,313 | 19.06 |
김식영 | 무소속 | 6,098 | 15.89 |
김준훈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046 | 13.15 |
김정식 | 무소속 | 0 | 0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경상북도 영주군에서는 대한청년당 김정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정식 | 대한청년당 | 10,289 | 23.34 |
강수창 | 무소속 | 9,383 | 21.28 |
김준훈 | 선량동지회 | 6,353 | 14.41 |
박용만 | 무소속 | 4,941 | 11.20 |
최석홍 | 민주국민당1949 | 3,191 | 7.23 |
전봉빈 | 무소속 | 3,100 | 7.03 |
엄종섭 | 무소속 | 2,124 | 4.81 |
박연구 | 무소속 | 1,716 | 3.89 |
김광호 | 무소속 | 1,581 | 3.58 |
정우협 | 무소속 | 1,403 | 3.18 |
합계 | 44,081 | 100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 이정희 후보가 51.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정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황호영 후보가 34.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황호영 | 민주당 | 17,883 | 34.76 |
박용만 | 사회대중당 | 16,126 | 31.34 |
강석일 | 무소속 | 6,979 | 13.56 |
정규만 | 무소속 | 5,047 | 9.81 |
김식영 | 무소속 | 3,194 | 6.20 |
최현우 | 사회대중당 | 1,203 | 2.33 |
김상기 | 무소속 | 1,015 | 1.97 |
합계 | 51,447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