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주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주군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된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봉화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주군·봉화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석홍, 김정식, 이정희, 황호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주시의 정치 - 영주시장 선거
    영주시장 선거는 경상북도 영주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8번의 민선 시장 선거를 통해 김진영, 권영창, 김주영, 장욱현, 박남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영주시의 정치 - 영주시 (선거구)
    경상북도 영주시 지역에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문경시·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박시균, 장윤석이 각각 2선 이상을 역임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영주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영주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북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영주군·봉화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봉화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주군·봉화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1948년)

1948년 대동청년단 소속 최석홍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1950년 대한청년단김정식이 당선되었다.

3. 3. 제3대 국회의원 (1954년)

1954년 자유당 소속의 이정희영주군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3. 4.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wikitext

선거정당의원
1958년자유당이정희


3. 5.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960년에는 민주당 황호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영주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 각 선거별 상세 결과가 정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요약된 내용만 간략하게 제시한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최석홍 후보가 27.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최석홍대동청년단10,71827.93
이운형대한독립촉성국민회9,18923.95
송영우대한독립촉성국민회7,31319.06
김식영무소속6,09815.89
김준훈대한독립촉성국민회5,04613.15
김정식무소속00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경상북도 영주군에서는 대한청년당 김정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정식대한청년당10,28923.34
강수창무소속9,38321.28
김준훈선량동지회6,35314.41
박용만무소속4,94111.20
최석홍민주국민당19493,1917.23
전봉빈무소속3,1007.03
엄종섭무소속2,1244.81
박연구무소속1,7163.89
김광호무소속1,5813.58
정우협무소속1,4033.18
합계44,081100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 이정희 후보가 51.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정희자유당23,26251.68
황호영무소속19,32742.94
전성학무소속2,4155.36
박용만자유당00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정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정희자유당18,81537.31%
박용만무소속17,37234.45%
황호영무소속12,65425.09%
김기석민주당1,5783.12%
합계50,419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황호영 후보가 34.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호영민주당17,88334.76
박용만사회대중당16,12631.34
강석일무소속6,97913.56
정규만무소속5,0479.81
김식영무소속3,1946.20
최현우사회대중당1,2032.33
김상기무소속1,0151.97
합계51,447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